😀테이블정의서에 따라서 테이블 만들어 보기
😀number라고 데이터타입 잡으면 최대 크기로 잡힌다
nn = not null
ck = chkeck제약조건
no_seq ==> sequence
😀오라클 드라이버를 자바에 로딩시켜주어야 함 (
클래스.메서드 => STATIC
😀jdbc는 정적 메서드(static)인데
객체 생성할 필요없이 Class.멤버메서드로 처리할 수 있다.
😀테이블에 몇개의 데이터가 들어있는지 모르니 while로 반복시켜준다
자바에서 지역변수는 반드시 명시적 초기화를 해줘야하기때문에 null값을 넣어야한다.
+ 추가
null값을 지역 참조변수로 넣으면 거기서 밖에 이용을 못하기 때문에 전역참조변수로 null값을 넣어주어서
어디에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 Driver를 통한 자바와 데이터베이스에 연결 및 작업을 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임.
- Driver를 통한 JVM과 DBMS의 연결.
- JDBC는 자바 표준 인터페이스임. - JDBC API를 사용함.
- JDBC는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 역할을 해 줌.
* JDBC 주요 인터페이스
- java.sql.Driver
==>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 java.sql.Connection
==>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 java.sql.PreparedStatement
==> 데이터베이스에 SQL문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 java.sql.ResultSet
==> 데이터베이스의 실행 결과를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 드라이버 로딩
-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해당 오라클 드라이버를 메모리로 업로드를
시켜 주어야 함.
- 드라이버를 메모리로 업로드 시키는 방법은
Class.forName(드라이버 파일) 메서드를 이용함.
- 해당 메서드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객체가 생성이 되고,
DriverManager 에 등록이 됨.
일반적으로 드라이버 클래스들은 로드될 때 자신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자동적으로 DriverManager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여 그 인스턴스를 등록을 함.
- 이 메서드는 Class라는 클래스에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파일
경로에 위치한 파일을 동적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
상에 업로드 시키는 기능을 수행함.
* 커넥션 연결
- 설치된 드라이버를 메모리 상에 업로드 시키면 이제 DB를
지금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연결을 시켜주어야 함. 이러한 연결을
시켜 주는 것을 커넥션(connection) 이라고 함.
- DriverManager 클래스는 데이터 원본에 JDBC 드라이버를
통하여 커넥션을 만드는 역할을 함.
- DriverManager 클래스의 getConnection() 메서드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오라클 정보를 인자로 전달하여 연결을
수행하게 됨.
- 오라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오라클의 정보(오라클 서버의 IP,
리스너 포트, 오라클 계정, 계정의 비밀번호)를 알아야 함.
* 실제 연결 순서
1. 오라클 드라이버 로딩.
2.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구함.
3. 쿼리 실행을 위한 PreparedStatement 객체 생성.
4. 쿼리 실행.
5. 쿼리 실행 결과를 사용.
6. 쿼리 종료.
7. PreparedStatement 사용 종료
8.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사용 종료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02(group by, having, view, PL/SQL(변수선언, if, 반복문) (0) | 2023.02.02 |
---|---|
23.02.01 (dual, 서브쿼리) (0) | 2023.02.01 |
23.01.31(sequence, 제약조건, join) (0) | 2023.01.31 |
23.01.30 (like(검색), order by(정렬), not, 계정만들기, 그룹함수) (0) | 2023.01.30 |
23.01.27 (DDL/DML/DCL, where조건절)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