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SS
<!--
CSS(Cascading Style Sheet)
- HTML이 웹 페이지의 "뼈대"라고 한다면, CSS는 "살"이라고 할 수 있다.
- 즉, HTML이 웹 페이지의 정보를 나타낸다면, CSS는 HTML을 좀 더 보기 좋게 디자인하는 역할이다.
-->
<h3>CSS 특징</h3>
<ol>
<li>Cascading style Sheet</li>
<li>HTML 문서에 스타일(디자인)을 적용하는 언어</li>
<li>CSS 사용 방법 : 인라인 방식(태그에 직접 적용), head영역, 외부 파일(.css)</li>
</ol>
<ul>
<li>CSS 형식 : 선택자{속성: 값;}</li>
<LI>선택자 : BODY 태그에서 선언한 태그</LI>
<li>하위 태그 지정 : 상위태그 하위태그{속성: 값}</li>
</ul>
😀head영역
</title>
<style type="text/css">
span{
font-size:
font-wieght:
color:
}
</style>
</head>
😀외부파일
파일확장자가 css인 파일을 만들어서 거기에
span {} 적용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 link : 현재 문서와 외부 리소스(*.css) 파일과의 관계를 명시하는 선언
- rel="stylesheet" : 태그로 연결하는 파일이 외부에 있는 스타일시트 파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 href : 이 속성은 링크된 리소스의 url 경로를 참조함
외부에 스타일시트 파일을 선언하고 사용하는 이유.
==> 대부분의 HTML 파일에 동일하게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
ul li /* 자식을 포함한 자손 */
ul > li /* > 는 자식의 의미 */
<style type="text/css">
body {
background-image: url(images/img.jpg);
background-color: gray;
background-reapeat: no-repeat;
background-positon: center;
size: cover;
}
ul li {
color: lightgray;
}
ul>li {
color: green;
}
</style>
<body>
<p>호랑이</p>
<ul>
<li>가위</li>
<li>바위</li>
<li>보
<ol>
<li>1번</li>
<li>2번</li>
</ol>
<li>
</ul>
</body>
/* 그룹 선택자 */
h2, h3, h4 {
color: tomato; /* 색상은 rgb색상표에서 바로 적용 가능 */
}
😀nth : n 번째 (th)
:nth-of-type(들어갈 수 있는 숫자들 : 1, 2, 2n, 2n+1 등등 )
:nth-of-type(first-child)
:nth-of-type(last-child)
:nth-of-type(odd)
:nth-of-type(even)
/* 순서 선택자 : nth-of-type() */
ul li:nth-of-type(1) {
color: #FF8000;
}
😀선택자가 없는경우
<style type="text/css">
input[type="text] {
border: 1px solid blue;
}
input[type="password" {
border: 1px solid red;
}
</style>
</head>
<body>
<form>
<input type="text> <br>
<input type="password">
</form>
😀태그에 커서가 올라갔을 때
<style type="text/css">
h1:hover {
color: red;
}
<!--
★★★★★★★★★★★★★★★
선택자의 종류
* 태그 선택자 : 특정 태그를 사용한 요소에 스타일 적용
* id 선택자
- 특정 부분에 스타일 적용
- 웹 문서에서 고유한 식별자를 정의할 때 사용
- 대체적으로 큰 골격의 이름에 사용하는 것이 좋음
- 같은 id 이름을 중복해서 사용하지 못함.
하나의 요소에 여러개의 id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함.
- 대체적으로 상단의 헤더, 왼쪽 메뉴, 가운데 컨텐츠 영역,
하단 footer 영역에 사용이 됨
예) id="title" ==> #title
* class 선택자
- 특정 부분에 스타일 적용
- 같은 클래스의 이름을 여러 요소에서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음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택자
예) class="main_text" ==> .main_text
-->
😀id선택자 / class 선택자
id는 #으로 / class는 . 으로 받는다
<style type="text/css">
#title {
color: blue;
}
.main_text {
font-weight: bold;
font-size: 20px;
color: red;
}
</head>
<body>
<h1 id="title"> 제목</h1>
<p class="main_text"> 본문</p>
<!--
1. 블록레벨 요소
- 주요 요소 : hn, p, div
- 사용 가능한 최대 가로 너비로 사용한다
- width: 100%, height: 0%로 시작 ==> default값
-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
- 수직으로 쌓임
- margin, padding의 속성에
상단, 하단, 왼쪽, 오른쪽 사용이 가능함.
- 주로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이 됨.
2. 인라인레벨 요소
- 주요 요소 : sapn, img
- 필요한 만큼의 너비를 사용한다
- width: 0%, height: 0%로 시작
- 크기를 지정할 수 없음
- 수평으로 쌓임
- margin, padding의 속성에
상단, 하단, 왼쪽, 오른쪽 사용이 불가능함.
- 주로 텍스트를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이 됨
-->
<!--
em 단위
- em은 사용하는 글꼴의 대문자 M을 기준으로 함
- 부모요소에서 지정한 폰트의 대문자 M을 1em이라는
기준으로 설정해 놓고, 상대적 값을 계산하여 다른
요소들의 글자 크기를 지정함
- 만약 지정한 크기가 없다면 <body> 태그의 기본 글자
크기인 16px이 1em의 기준이 됨
-->
<Style type="text/css">
h1 {
font-size: 3em;
}
p {
font-size: 0.8em;
}
<body>
<h1> 3em크기의 제목</h1>
<p> 0.8em 크기의 p태그</p>
list-style-type: none; /* ul의 점 제거하는 속성 */
text-decoration: none; /* a태그 글자 밑에 있는 밑줄을 제거하는 속성 */
display: inline-block; /* 인라인레벨요소로 바꾸주는 속성 */
<!--
display 속성
- 웹 페이지 상에서 요소들이 어떻게 보여지고 다른 요소와
어떻게 상호 배치되는지를 결정하는 속성임
* inline : display 속성이 inline으로 지정된 요소는
전후 줄바꿈 없이 한줄에 다른 요소들과 나란히 배치가 됨.
예) span태그, img태그
* block : display 속성이 block으로 지정된 요소는
전후 줄바꿈이 들어가 다른 요소들을 다른 줄로 밀어내고
혼자 한 줄을 차지함.
예) hn태그, p태그, div태그, li태그 등
* inline-block : display 속성이 inline-block으로 지정된 요소는
기본적으로 inline요소처럼 전 후 줄바꿈없이
한 줄에 다른 요소들과 나란히 배치가 됨.
하지만 inline 요소에서 불가능하던 width와 height
속성 및 margin, padding 속성의 상하 간격 지정이 가능해짐
-->
.block img{
display: block;
}
<div class="block">
<!--
CSS의 여백
1. margin(요소의 바깥쪽 여백)
- 요소의 바깥쪽 여백을 지정하는 속성
- 바깥쪽 여백은 요소와 요소 사이의 여백(거리, 공간)을 생성할 때 사용함
- 속성에는 상단, 오른쪽, 하단, 왼쪽 다르게 지정할 수 있음
- 사용법
margin: 10px 20px 30px 40px
==> 상단, 오른쪽 , 하단, 왼쪽으로 지정
margin: 10px 20px 30px
==> 상단, [오른쪽 , 왼쪽], 하단
margin: 10px 20px
==> [상단, 하단], [오른쪽 , 왼쪽]
margin: 10px
==> [상단, 오른쪽, 하단, 왼족]
2. padding(요소의 안쪽 여백)
- 요소의 안쪽 여백을 지정하는 속성
- 단위 : px, em, com 등의 단위로 지정
- % : 너비로 백분율로 지정 가능
- 사용법
padding: 10px 20px 30px 40px
==> 상단, 오른쪽 , 하단, 왼쪽으로 지정
padding: 10px 20px 30px
==> 상단, [오른쪽 , 왼쪽], 하단
padding: 10px 20px
==> [상단, 하단], [오른쪽 , 왼쪽]
padding: 10px
==> [상단, 오른쪽, 하단, 왼족]
-->
padding: 20px; /* 박스사이즈 증가하므로 padding을 줄 때는 조심해야 한다. */
box-sizing: border-box; /* @박스사이즈 원상태로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10(글자간격, border, text-shadow, float, a href="#", overflow) (0) | 2023.02.1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