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증 해결

용어가 궁금해

by 2023코딩시작 2023. 2. 22.

😀프로퍼티 

=>프로퍼티(property)는 객체(object) 내에 있는 값 또는 함수를 나타냅니다.

프로퍼티(property)는 객체(object) 내에 있는 값 또는 함수를 나타냅니다. 객체는 여러 개의 프로퍼티를 가질 수 있으며, 각 프로퍼티는 이름과 값으로 구성됩니다. 이름은 일반적으로 문자열이며, 값은 어떤 타입이든 가능합니다.

프로퍼티는 객체의 특성을 정의하며,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person) 객체에는 "이름", "나이", "성별"과 같은 프로퍼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퍼티를 통해 사람 객체의 정보를 나타내고, 프로퍼티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는 점(.) 또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객체 내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점 표기법은 프로퍼티 이름이 유효한 변수 이름(예: person.name)인 경우에 사용하고, 대괄호 표기법은 유효한 변수 이름이 아닌 경우(예: person['first name'])나 변수 이름이 동적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프로퍼티를 멤버(member), 필드(field), 속성(attribute)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객체와 인스턴스의 차이

객체는 클래스(Class)에 의해 정의된 추상적인 개념으로, 클래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메소드(Method)를 포함합니다. 객체는 실체화되기 전까지는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으며, 그저 클래스의 템플릿에 불과합니다. 이러한 객체를 인스턴스화(Instantiation)한다고 하며, 인스턴스는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로 동작하는 객체입니다.

 

즉, 클래스에서 객체를 정의하고, 객체를 메모리에 할당하면 인스턴스가 됩니다. 객체는 클래스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인스턴스는 클래스를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구체적인 사례입니다.

 

인스턴스는 클래스의 특성에 따라 실제로 메모리에 할당된 객체입니다.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Library)란, 프로그래밍에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집합을 말합니다. 라이브러리는 자주 사용되는 로직을 패키지화하여, 해당 로직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됩니다.

라이브러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프로그래밍하는 데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소프트웨어 코드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필요한 로직을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라이브러리는 일반적으로 잘 개발되고 테스트된 코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jQuery, React, Vue.js, lodash 등의 라이브러리가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라이브러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개발자들이 자신의 작업에서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쿼리

Query는 데이터베이스나 웹 문서에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검색, 추가,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SQL 쿼리는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웹에서 쿼리는 주로 URL에서 사용되며, 쿼리 문자열(query string)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https://www.example.com/search?q=JavaScript의 경우, "q"는 쿼리 문자열의 이름(name)이며, "JavaScript"는 값(value)입니다. 이러한 URL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 검색어를 전달하거나, 다양한 파라미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쿼리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나 방법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나 웹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파라미터 == 매개변수

파라미터(parameter)는 함수나 메소드에서 인수(argument)를 전달받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함수는 입력값을 처리하여 출력값을 반환하는 데 사용되며, 이때 함수는 입력값을 받기 위해 파라미터를 사용합니다. 파라미터는 함수나 메소드를 정의할 때, 함수의 이름과 괄호 안에 선언되며, 여기에는 파라미터의 이름과 데이터 타입이 지정됩니다.

 

😀리액트

리액트(React)는 Facebook에서 개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라이브러리입니다. 리액트는 가상 DOM(Virtual DOM)을 사용하여 매우 빠른 UI를 제공하며,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식을 채택하여 개발자가 각각의 UI 요소를 독립적으로 개발하고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는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One-way data binding)을 사용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하면 하위 컴포넌트에서는 데이터를 읽을 수만 있고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변경은 상위 컴포넌트에서 이루어지며, 변경된 데이터는 다시 하위 컴포넌트로 전달되어 UI가 업데이트됩니다.

리액트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JSX 문법을 사용합니다. JSX는 HTML과 유사한 구문으로 작성할 수 있어 개발자가 UI 코드를 더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리액트는 또한 Redux, MobX 등과 같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여 복잡한 UI 상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액트 네이티브(React Native)를 사용하여 네이티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컴포넌트(component)는 React에서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즉, 화면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 폼, 뉴스 목록, 사진 갤러리 등 모두 컴포넌트가 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하나의 단위입니다. 즉,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와 독립적으로 개발될 수 있고, 다른 컴포넌트와 결합하여 더 큰 단위의 컴포넌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React에서 컴포넌트는 함수나 클래스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함수 컴포넌트는 props를 인자로 받아서 UI를 반환하며, 클래스 컴포넌트는 React.Component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UI를 반환합니다. 또한,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는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듈

모듈(Module)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을 의미합니다.

모듈은 일반적으로 자체 스코프 내에서 변수, 함수, 클래스 및 객체를 정의합니다.

모듈은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먼저, 코드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모듈은 재사용 가능하며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드를 다시 작성하지 않고도 쉽게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듈은 변수와 함수의 이름 충돌을 방지하므로, 코드 작성에 대한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모듈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CommonJS, AMD, ES6 모듈 등이 있습니다. 최근 대부분의 브라우저와 Node.js에서는 ES6 모듈이 기본적으로 지원되므로, 대부분의 자바스크립트 프로젝트에서는 ES6 모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수

상수(constant)란, 프로그래밍에서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값을 한 번 정하면 그 값을 계속 유지하며 변경할 수 없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에서 π(원주율)나 e(자연상수) 등은 변하지 않는 값으로서 상수입니다. 이와 같이 프로그래밍에서도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일정한 값 등을 상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수는 대문자로 작성하며, 값을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include

<jsp:include> 지시자와 <%@ include %> 지시자는 둘 다 JSP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포함시키는 데 사용되는 지시자입니다.

<jsp:include> 지시자는 JSP 페이지를 실행하는 시점에 include 되는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포함되는 페이지가 동적으로 생성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포함시키게 됩니다. 이를 통해 페이지 간의 동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반면 <%@ include %> 지시자는 JSP 페이지가 컴파일될 때 include 되는 페이지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즉, include 되는 페이지의 변경사항이 있더라도 컴파일된 JSP 페이지에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정적인 내용을 포함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jsp:include> 지시자는 동적인 내용을 포함시키는 데 적합하며, <%@ include %> 지시자는 정적인 내용을 포함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궁금증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 왜 이럴까?  (0) 2023.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