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 JAVA

23.01.09 (클래스와 객체)

by 2023코딩시작 2023. 1. 9.

 

stack:

자료형의 크기가 정해진 데이터, 기본자료형 8가지

 
배열선언 int[ arr]
arr-> 배열이름(heap시작 주소값)



str 0x300
strCopy 0x300
heap: 자료형의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데이터, 참조자료형






0x300 ㅁㅁㅁ

new 키워드에 사용하면 heap에 메모리 공간이 확보가 됨

 

 

heap시작 주소값이 arr 참조변수(배열이름)에 저장 ==> 주소값을 참조해서 참조변수라고 함

 

arr[0] // 방의 이름은  0이라는 인덱스부터 시작한다!!!!

 

😀

1. 배열 선언 

2. heap 메모리 공간 생성

3. 배열 값 입력

4. 배열 값 출력

 

😀

 ★★★★★★★★★★★★★★★★★★★★★★★★★★★★★★★★★★★★★
 *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 배열의 이름은 heap 영역의 시작 주소값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 아래의 문장은 시작 주소값을 다른 배열의 배열명에 복사해주는 명령문이다.
 * 즉, 배열의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String[] str = new String[sc.next()];
String[] strCopy = str;

'자바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11 (클래스와 객체)  (0) 2023.01.11
23.01.10 (클래스와 객체)  (0) 2023.01.10
23.01.06(제어 흐름 이해하기)  (0) 2023.01.09
23.01.05(제어 흐름 이해하기)  (0) 2023.01.06
23.01.03(자바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0) 2023.0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