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ql developer에서 한줄 주석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1. 테이블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2차원 형태의 표로 저장하고 관리를 함.
- 이러한 표 형태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테이블(table)이라고 함.
- 테이블은 2차원 형태이므로 가로줄과 세로줄로 구성이 되어 있음.
* 가로줄 : 행(row)
* 세로줄 : 열(column)
2. 행
- 행은 저장하려는 하나의 개체를 구성하는 값.
- 예를 든다면 학생 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것.
3. 열
- 저장하는 데이터를 대표하는 이름과 공통 특성을 정의한 것.
- 열은 저장정보의 종류(자료형)과 자료형의 저장 가능한 최대 크기, 중복 여부를 설정하게 됨.
*/
/*
오라클에서 속성에 들어가는 주요 자료형(data type)
1. number(n, n1) : 숫자 자료형(정수, 실수)
* n : 전체 자릿수
* n1 : 소숫점 자릿수
* n - n1 : 정수 자릿수
예) number(7,2) : 전체 자릿수는 7자리이고, 정수는 5자리, 소숫점 자릿수는 2자리.
2. char(n) : 문자열 n개가 저장되는 자료형 ==> 고정 자료형.
3. varchar(n) : 문자열 n개가 저장되는 자료형 ==> 가변 자료형.
* 현재 오라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자료형.
4. varchar2(n) : 문자열 n개가 저장되는 자료형 ==> 가변 자료형.
한글은 무조건 한 글자당 2바이트씩 사용됨.
5. date : 날짜가 저장되는 자료형
==> 시스템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저장됨.
*/
/*
무결성(Integrity)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세계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함.
무결성 제약조건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정확하지 않은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사용되는 무결성 제약조건의 종류
1. unique 제약 조건
==> 중복이 되면 안 되는 제약 조건 ex) 주민등록번호, 학번
2. not null 제약 조건
==> 공백(null)을 허용하지 않는 제약 조건 ex) 회원가입시 *표시 있는거
3. check 제약 조건
==> 특정한 값이 아닌 데이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제약 조건 ex)남자, 여자
4. primary key 제약 조건
==> 기본 키 제약 조건.
==> unique + not null 제약 조건
==> 기본 키는 해당 테이블을 대표하는 컬럼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테이블에서 외래키들이 참조할 수 있는 키로써의 자격을 가짐. ex) DEPTNO // 테이블 당 1개씩
5. foreign key(외래 키) 제약 조건
==> 외래 키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primary key)를 참조하는 컬럼의 집합임.
여기서 외래 키 값은 참조하고 있는 테이블의 기본 키에 없는 내용을 참조할 수 없음.
이를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이라고 함.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02(group by, having, view, PL/SQL(변수선언, if, 반복문) (0) | 2023.02.02 |
---|---|
23.02.01 (dual, 서브쿼리) (0) | 2023.02.01 |
23.01.31(sequence, 제약조건, join) (0) | 2023.01.31 |
23.01.30 (like(검색), order by(정렬), not, 계정만들기, 그룹함수) (0) | 2023.01.30 |
23.01.27 (DDL/DML/DCL, where조건절)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