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컬럼에서 제약조건을 준다. ex) 학번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 테이블에서 제약조건을 준다.
ex) 학번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 문자열 ' ' 로 표현
😀테이블은 전부 외우려고 하지말고 필요할 때 보고 쓰면 됨
😀연산이 필요한 건 데이터
😀 작성한 문장의 ; <<< 있는 위치에서 명령문 실행(ctrl + enter)을 눌러주어야 함 (아니면 실행버튼 누르기 )
--> 이후 명령문을 작성하고 컬럼이 추가됐는지 안됐는지 확인하기
--> 여러개를 할 때는 드래그 한 후에 ctrl+enter로 한 번에 하면 됨
sysdate : 시스템에 등록된 현재 날짜
1. 커밋
2. 롤백 (롤백은 커밋을 선언한 이후에는 되돌릴 수 없다.)
😀* ==> 모든거
select ==> 쿼리문 (질의문)
😀테이블 명령문 다 실행하고 테이블 -로 축소화 시키고 새로고침을 해야지 테이블이 형성 됨
/*
학생 테이블을 만들어 보자.
구성 요소(컬럼 - 속성)
==> 학번, 이름, 학과, 연락처, 주소, 등록일(입학일) 등등
테이블을 만드는 형식
create table 테이블이름(
학번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이름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학과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연락처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주소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등록일 자료형(크기) (제약조건)
);
*/
ex) create table student (
hakbun varchar2(10) primary key
);
-테이블에 컬럼을 추가하는 방법
-alter table 테이블이름 add(컬럼명 테이블타입(크기) (제약조건));
ex) alter table student add(age number(3));
- 테이블의 컬럼을 수정하는 방법
-alter talbe 테이블이름 modify(컬럼명 데이터타입(크기) (제약조건));
ex) alter table student modify(age varchar(3));
- 테이블 컬럼명을 수정하는 방법
alter table 테이블명 reaname column 기존컬럼명 to 변경할 컬럼명;
ex) alter table student rename column name to name1;
-테이블의 컬럼명을 삭제하는 방법
alter table 테이블이름 drop column 컬럼명;
ex) alter table student drop column age
/*
1. DDL(Date Define Language : 데이터 정의 언어)
- CREATE :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어
- ALTER : 테이블을 수정하는 명령어
- DROP :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을 삭제하는 명령어
- TRUNCATE : 테이블을 초기화하는 명령어
2.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언어)
==>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 SELECT : 데이터를 검색하는 명령어
- INSERT : 데이터를 추가하는 명령어
- UPDATE : 데이터를 수정하는 명령어
- DELETE :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
3. DCL(Date Control Language : 데이터 제어 언어)
- GRANT : 특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작업의 특정 수행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
- REVOKE : 특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작업의 특정 수행 권한을 삭제하는 명령어
- COMMIT : 트랜잭션 작업을 완료하는 명령어
- ROLLBACK : 트랜잭션 작업을 취소하거나 이전 상태로 복구하는 명령어
*/
-- student 테이블 데이터(학생 정보)를 추가해 보자.
형식1) insert into 테이블이름 values(컬럼1 데이터... 마지막 데이터)
insert into student values('','','','', );
형식2) insert into 테이블이름 (제약조건 컬럼들 명시) values (제약조건 컬럼 수에 해당하는 데이터 기재)
insert into student( , ) values ('', '')
-- 데이터베이스에 완전하게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commit;
-- student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
delete from student;
--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명령어
rollback;
-- student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주세요
-- 형식) select * from 테이블이름
select * from student;
-- 보고 싶은 컬럼만 보이게 하고 싶은 경우
-- 형식) select 컬럼명1, 컬럼명2, 컬럼명3... from 테이블이름
select hakbun, name form student;
-- null 값을 가지는 컬럼은 다른 컬럼과 연산을 하게 되면 모두 null 값으로 처리가 되는 문제가 발생
-- nvl() 함수 : null 값을 특정한 값으로 변경시켜 주는 함수.
-- 모든 자료형에 적용이 가능함.
-- nvl() 함수를 사용할 때에는 전환되는 값의 자료형을 일치시켜야 함.
-- 형식) nvl(null값이 들어가 있는 컬럼명, 변경할 값)
ex) select empno, name, sal, comm, sal + nvl(comm, 0) from emp;
-- nvl2() 함수 : 자바에서의 3항연산자와 비슷한 함수
-- 형식) nvl2(컬럼명, exprl, expr2)
-- ==> 컬럼명의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exprl 값을 반환
-- ==> 컬럼명의 값이 null인 경우 expr2 값을 반환
ex) select empno, name, sal, comm, sal + nvl2(comm, comm, 0) from emp;
-- as 키워드 : 컬럼의 제목(title)의 이름을 변경하는 키워드
-- 별칭 또는 별명이라고 함.
-- 사용 시에는 컬럼명 바로 뒤에 사용을 함.
-- 컬럼명과 별칭 사이에 as 라는 키워드를 넣어주면 됨
-- 보통 별칭은 "" 안에 작성을 한다.
-- as라는 키워드를 생략해도 됨
ex) select empno, ename, sal, comm, sal+ nvl(comm, 0) "sal+comm" from emp;
/*
distinct 키워드 : 중복을 제거해 주는 명령어(키워드)
- 주로 하나의 컬럼에서 중복된 값을 제거하고 보여줄 때 사용함.
- distinct 키워드는 항상 select 키워드 다음에 기술한다.
- distinct 키워드 뒤에 나오는 컬럼들은 모두 distinct의 영향을 받는다.
- distinct 키워드 뒤에 여러개의 컬럼이 기술이 되면 해당 컬럼들은 중복이 되지 않게 나타난다.
*/
ex) select distinct job from emp;
-- 예) KING 사원의 연봉은 60000입니다.
-- || : 연결연산자
select ename || '사원의 연봉은' || sal*12 || '입니다' "사원의 연봉" from emp;
-- 테이블을 삭제하는 방법
-- 형식) drop table 테이블이름 purge;
/*
★★★★★★★★★★★★★★★★★★★★★★★★★★★★★★★★★★★★★
where 조건절
- 모든 데이터를 가져 오는 거시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 조회할 경우에 사용된다.
- where 조건절은 자료를 필터링 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
- where 조건절은 from 테이블이름 뒤에 기술해야 함.
형식) selet 컬럼명1, 컬럼명2,... 컬럼명n from 테이블이름 where 조건식;
조건식에 들어가는 내용
1. = : 조건이 같은지 여부 확인.
2. < : 조건이 작은지 여부 확인
3. <= : 조건이 작거나 같은지 여부 확인
4. > : 조건이 큰지 여부 확인
5. >= : 조건이 크거나 같은지 여부 확인
6. != : 조건이 같지 않은지 여부 확인
7. <> : 조건이 같지 않은지 여부 확인 ==> != 과 같은 의미
8. between A and B : A와 B사이에 있는지 여부 확인
9. in(list) : list 값 중에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 확인
10. not between A and B : A와 B 사이에 있지 않은지 여부 확인
==> A, B 값을 포함하지 않음.
11. not in(list) : list 값과 일치하지 않는지 여부 확인
*/
😀데이터는 대/소문자 구분해야 함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02(group by, having, view, PL/SQL(변수선언, if, 반복문) (0) | 2023.02.02 |
---|---|
23.02.01 (dual, 서브쿼리) (0) | 2023.02.01 |
23.01.31(sequence, 제약조건, join) (0) | 2023.01.31 |
23.01.30 (like(검색), order by(정렬), not, 계정만들기, 그룹함수) (0) | 2023.01.30 |
23.01.26 데이터베이스 기초(구성요소, 자료형, 제약조건) (0) | 2023.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