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2: 변수와 자료형(리터럴 제외)
chapter3: 자바의 여러가지 연산자
변수: 하나의 데이터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
1. 변수선언 ==>자료형 변수명
2. 변수초기화 ==> = 값(데이터)
3. 변수이용 ==> 연산 및 출력
자료형 8가지
1. 정수자료형: byte(-128~127) short int(21억?) long ==> 1바이트, 2바이트, 4바이트, 8바이트
2. 실수자료형: float double(소수점아래 15~16자리) ==> 4바이트, 8바이트
3. 단일문자형: char / 2~3바이트 ==> 유니코드(UTF-8) cf. 아스키코드
4. 논리자료형: boolean(true / false) ==> 기본형: false
😀형변환(casting)
1. 묵시적형변환(큰 자료형->작은 자료형), 표기x
2. 명시적형변환(작은 자료형->큰 자료형), 표기o, 데이터손실
표기방법 : ()데이터값
😀실수자료형
- float 자료형 사용 시 double이 기본이기 때문에 값 뒤에 F를 붙여야함
ex) float fNum = 12.3441F
- 실수자료형은 명시적 형변환을 하여도 자료의 손실이 거의 없음.
😀변수자리바꾸기
==> 같은 자료형의 변수 생성하여 옮기기 ex)int temp
<연산자 7가지>
1. 산술연산자 + - * / %(짝수, 홀수, 배수)
2. 관계연산자 boolean > < >= <= == !=
3. 논리연산자 && || ! (부정) ==> 논리곱에서 앞 항 false면 뒷 항 무시, 논리합에서 앞 항 true면 뒷 항 무시
4. 단항연산자++ -- ==> (전위, 후위)단항연산자가 앞에 붙으면 바로 연산, 뒤에 붙으면 변수 처리 후 연산
3항연산자 (조건) ? 수식1 : 수식2
5. 배정연산자 =
단축배정연산자 += -= *= /= %=
6. 비트연산자 &(서로 참이면 1) |(하나라도 참이면 1) ^(xor:서로 다르면 1)
7. 쉬프트연산자 <<, >>(부호), >>> (비트 변환 후 연산)
😀변수명(식별자) 만드는 작성 규칙
* - 변수명, 메서드명, 클래스명 등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함.
* 1. 예약어(키워드 - 문법적으로 사용되는 단어) 사용 불가.
* 2. 영문자 또는 특수문자(_ or $)로 시작해야함.
* 3.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 예) 1sum(X)
* 4. 대소문자는 구분함. -SUM과 sum은 다른 변수명으로 인식함.
* 5. 변수명은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이 좋음.
* 6. 변수명에 두개의 단어가 연결이 되는 경우에는 두번째 글자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관례임(CamelCase 기법)
😀코딩에는 숫자가 없을수록 좋다
int su1 = Integer.parseInt(JOptionPane.showInputDialog("첫번째 정수 입력"));
'자바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10 (클래스와 객체) (0) | 2023.01.10 |
---|---|
23.01.09 (클래스와 객체) (0) | 2023.01.09 |
23.01.06(제어 흐름 이해하기) (0) | 2023.01.09 |
23.01.05(제어 흐름 이해하기) (0) | 2023.01.06 |
23.01.03(자바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