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 이건 왜 이럴까? 😀equals() 와 == ==는 메모리 주소를 비교, 즉 같은 객체인지 equals()는 내용비교 -> 문자열을 비교할 때 사용! 😀형변환 시 (int)와 Integer.parseInt (int)는 기본적인 형변환 Integer.parseint는 String 데이터를 int로 바꿀 때 사용하는 형변환! 2023. 3. 15. 23.03.15 DBCP 😁 1. 을 왜쓰는 지?? 여기엔 뭐써야하는지? ->>엔터먹은거를 로 바꿔줌 2. history.back()이 alert창에서 뒤로 간다는 건가? ->>>서블릿에서 뒤로간다(form페이지로) 3. default와 '' 차이 ---> defualt는 0 / ' '는 null 4. 왜 else if 안쓰고 if쓰지? ---> else if를 쓰면 위에가 거짓이 됨(안썻다는 얘기임) 5. 왜 홑따옴표 2번쓰지? 6. 여기서 return은 history.back()하고 똑같은건가? 😀JDBC client --------> server ----(CRUD)----> DB 단점 : 여러명이 한번에 하면 성능이 떵러짐 😀DBCP(Data Base Connection Pool) CON객체를 db에서 pool에 미리 넣어.. 2023. 3. 15. 23.03.08 😀😀 😀jdbc드라이버(배포 시) : c드라이브 - oraclexe - ... - product - ... - jdbc - ojdbc6 😀자체적으로 드라이버 쓸 때 c드라이브 - ncs- download - tomcat lib - ojdbc 😀생성자의 역할 3가지 1. 객체생성 2. 인자생성자 -> 멤버값 초기값할당 3. 생성자 안에다 작업할 내용 넣으면 객체 생성시 작업내용 같이 실행 😀 [전체학생리스트] 2023. 3. 8. 23.03.07 😀servlet jsp session을 잘 기억하자..!! 😀 web.xml 파일 만드는 방법 1. 프로젝트 만들 때 Generate web.xml deployment descriptor 체크하기 2. (체크를 안했다면) JAVA EE tools - Generate deployment descriptor Stub .😀is가 들어가면 boolean형으로 반환 # JSP가 등장하게 된 배경 1. Servlet의 문제점 - 웹 프로그램의 화면 기능이 점점 복잡해지면서 서블릿의 자바 기반으로 화면 구현 시 어려움이 발생함. - 디자이너 입장에서 화면 구현 시 자바 코드로 인해 작업이 어려움. ==> 자바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 - 서블릿의 비지니스 로직과 화면 구현 기능이 같이 있다 보니 개발 후 유지 관리가.. 2023. 3. 7. 이전 1 2 3 4 5 ··· 14 다음